티스토리 뷰
PC를 이용한 자작NAS로는 크게 윈도우 계열과 리눅스 계열이 있는데 여기서 "Native로 설치를 할것이냐 가상화에 설치를 할것이냐" 로 나눠진다.
Native에서는 다시 리눅스 계열과 윈도우 계열로 나눠지는데 흔히 우리가 사용하는 윈도우7이나 우분투등으로 구축하여 사용이 가능하다는것이다
1. Native로 설치
우선 Native로 설치 한다면 PC의 자원을 모두 NAS에 할당함으로써 저사양PC에도 구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심플하게 OS를 설치하고 FTP서버 및 WebDEV 나 서드파티 앱을 설치하여 외부네트워크 및 내부네트워크에서 파일 공유가 가능하게 설정하는것이다.
가능 OS는 너무나도 많다 윈도우계열 및 리눅스, XPENOLOGY등을 예를 꼽을수 있다.
특히 xpenology경우 기성NAS 제품의 OS 인데 기반은 리눅스이다. 그래서 라이센스자체가 소스공개를 해야하기 때문에 공개가 이루어지며 이소스를 바탕으로 일반PC에서도 구동 가능하게 재구성한 OS라고 보면 되는데 아직도 불법,합법을 두고 이야기가 나오는 부분이나 필자는 오픈소스에 대해 자세히 모르기 때문에 더이상 설명은 어렵다.
xpenology에 대한 설치 및 설정방법및 셋팅은 비교적 직관적이며 상당히 쉬운편에 속해 초보자 분들도 쉽게 접근이 가능하므로 이방법도 상당히 괜찮다.
윈도우 계열은 가정에서 쓰는 윈도우7이나 윈도우8을 이용하거나 윈도우서버 2008 및 2012로 구축이 가능한데 장점으로는 우리가 흔히 접했던 윈도우라 셋팅과 설정 및 유지보수가 보다 쉬운편이고 이에 반해 리눅스는 쉘 명령어를 조금 익혀 설치해야 함으로 조금 공부를 해야 한다. (조금만 인터넷으로 검색하면 쉽게 접근할수도 있다)
리눅스계열은 윈도우보다 안정적이며 외부해킹에 대해 조금더 촘촘한 방화벽을 새울수 있다. 요즘은 패키지 설치도 많이 쉬워졌고 윈도우 못지않게 원하는 서버를 구현할수 있다.
2. 가상화로 서버를 구축
이방법은 VM이나 Hyper-v를 이용한 방법이다.
요즘 저렴하게 PC를 조립을 하여도 성능이 매우 좋은편이다. (CPU나 RAM등이 한단계 윗사양을 선택을 해도 돈차이가 몇만원이 나지 않는다.)
저렴하게 마춘PC에 윈도우8이상 윈도우서버2012급 및 VMware를 설치한뒤 리눅스나 윈도우를 설치하여 가상환경에서 서버를 운영하는방법인데
이구축법은 사양만 조금 된다면(필자는 하스웰G3220 8G RAM) OS를 여러게 깔아서 활용이 가능하다.
- VMware및 Xen서버
위 그림과 같이 메인OS를 VM 및 Xen서버등 가상화OS아래 각각 원하는 서브OS를 설치하여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NAS용 OS는 리눅스를 깔수도 있고 윈도우를 깔수도 있고 xpenology 및 FreeNAS등 NAS특화OS를 설치하여 활용할수도 있다.
보통 가정에서 서버를 구축한다고 하면 고사양 고전력PC보다는 저전력 PC를 중점을 많이 선호한다 (이부분에서 많은 이들은 DC to DC나 효율이 높은 파워서플라이, 아톰CPU 및 인텔 저전력CPU를 웃돈을 주고 구입하는 실정이다.)
그렇기에 필자는 G3220을 선택했다 하드2개와 램2개 idel시 30W 왔다갔다 한다. NAS를 구축하고 전기요금을 비교했을때 큰 차이가 없으며 거의 24시간 운용중이라 보면 되겠다.
- 윈도우
윈도우서버 2012 및 윈도우8 같은 OS 안에 NAS용 OS 및 뱅킹용OS 또는 개인활용할 OS 등등 설치하여 원격데스크톱이나 팀뷰어 같은 원격접속 어플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할수 있다.
ESXI 및 리눅스 같은 OS 계열은 파티션 포맷이 윈도우랑 호환이 안되어 따로 파티션을 만들어서 구성을 할수있다(물론 서드파티 앱을 깔면 NTFS파티션도 인식가능하다)
하지만 윈도우계열은 애초에 NTFS 파티션이기 때문에 자유로운 데이터 파티션을 다양하게 구성할수 있다.(필자는 오랜MS점유에 따른 NTFS 파티션이 더 편하다)
이처럼 NAS를 구성하는 방법은 꾀 다양하며 원하는대로 서버를 구성할수 있다. 어떻게 활용할것인지, 어떻게 투자를 할것인지 한번 곰곰히 생각해보길 바란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OBD2 bluetooth + 폐 스마트폰 활용한 나만의 튜닝게이지 만들기_2 (0) | 2015.07.28 |
---|---|
OBD2 bluetooth + 폐 스마트폰 활용한 나만의 튜닝게이지 만들기_1 (1) | 2015.07.28 |
[지름신고]롬라이터 구입 (0) | 2015.05.25 |
윈썸 + 7" LED모니터 결합 차량활용 (0) | 2015.04.23 |
NAS를 꾸미다. (0) | 2014.06.30 |
- Total
- Today
- Yesterday
- openelec
- NO HDD
- tpipe
- VoIP
- iPXE
- 라즈베리파이
- 스마트폰
- windows 네트워크공유
- freepbx
- 치느님
- Patch Tracker
- 우분투 usb 설치
- 대게비빔밥
- call server
- OBD2
- Asterisk
- 노하드
- 콜서버
- SIP
- E3-1265L V3
- 대게만두
- Touque pro
- Win32Diskimager
- ESXi6.5
- KODI
- cifs
- ESXi 6.0
- 초대장
- OSMC
- gPX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